태옹
close
프로필 사진

태옹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2) N
    • 시스템관리 (22) N
      • 계정 관리 (6) N
      • 자원 관리 (1)
      • 성능 분석 (5)
      • 스토리지 (4)
      • 네트워크 (5)
    • Web (6)
    • 리눅스 (0)
    • CS (0)
    • Spring (34)
      • 개념지식 및 에러사항 (9)
      • 게시판프로젝트 (17)
      • ICS단계적보안성평가 프로젝트(한이음) (3)
      • Spring Security (5)
    • DevOps (31)
      • Cloud (14)
      • CI CD (2)
      • Docker (8)
      • Git (4)
      • AWS (1)
      • Terraform (2)
    • Database (6)
    • Android (14)
      • Kotlin App (11)
    • Language (9)
      • SQL (1)
      • JAVA (3)
      • C++ (4)
      • Python (1)
    • 강연 내용 정리 (4)
      • 잇다 클래스 (2)
      • IT컨퍼런스 (2)
    • 교육 (1)
      • CJ올리브네트웍스 Cloud Wave 1기 (1)
    • 주절주절 (0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github
  • portfolio
[Terraform] 2. 로드밸런서 생성 및 연결

[Terraform] 2. 로드밸런서 생성 및 연결

이번 실습은 단 두 개의 인스턴스를 미리 생성해놓고 로드밸런서에 이 두 개를 연결한다. 로드밸런서가 제공하는 Auto Scaling Grou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attachment를 사용해서 두 개의 인스턴스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이 점에 유의해서 진행한다. 더보기 로드밸런서 생성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성된다. (aws docs 참고) 1단계: 대상 그룹 구성 => 로드밸런서가 특정 타겟들을 가리키려면 먼저 타겟 그룹(=대상그룹)을 만들어주어야 한다. 2단계: 대상(ALB Target Group) 등록 => 만들어놓은 대상 그룹에 로드밸런싱을 수행할 인스턴스를 연결한다. 3단계: 로드 밸런서 및 리스너(ALB Listener) 구성 => 리스너를 생성해서 요청을 적절한 대상 서버 또는 인스턴스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Terraform
  • · 2023. 8. 8.
[Terraform] 1. 인스턴스 생성

[Terraform] 1. 인스턴스 생성

👇🏻 이전글 참고 Cloud9에서 키페어 생성 후 AWS에 등록 키페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. 1. AWS 콘솔에서 키페어 생성 -> Cloud9 인스턴스로 가지고 오기 2. Cloud9 인스턴스에서 키페어 생성 -> AWS에 등록하기 우리는 2번째 방법(SSH taetoungs-branch.tistory.com 0. provider 지정 provider "aws" { # access_key = "자신의 Key 를 입력" # Cloud9 을 사용하면 IAM Role 을 활용하게 됩니다. 만일 Mac 사용자는 IAM 에서 발급해야 합니다. # secret_key = "자신의 Key 를 입력" region = "ap-northeast-2" } 테라폼에서 사용하는 provider란 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Terraform
  • · 2023. 8. 8.

Cloud9에서 키페어 생성 후 AWS에 등록

키페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. 1. AWS 콘솔에서 키페어 생성 -> Cloud9 인스턴스로 가지고 오기 2. Cloud9 인스턴스에서 키페어 생성 -> AWS에 등록하기 우리는 2번째 방법(SSH KEYGEN 사용)을 사용하여 키페어를 등록해본다. 1. SSH 키 페어를 생성 후 .pem 확장자로 복사 ssh-keygen -t rsa -b 2048 -C "" -f "$HOME/.ssh/" -N "" && sudo cp /home/ec2-user/.ssh/ /home/ec2-user/.ssh/.pem 👇🏻 명령어 설명 더보기 1. ssh-keygen -t rsa -b 2048 -C "" -f "$HOME/.ssh/" -N "": ssh-keygen : SSH 키 생성을 위한 명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AWS
  • · 2023. 8. 7.
[CI/CD] Docker와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 CI/CD 자동화 배포2 (실습내용)

[CI/CD] Docker와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 CI/CD 자동화 배포2 (실습내용)

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어요🥲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 🛠️ 사용 기술 spring boot gradle github action docker AWS Elastic Beanstalk AWS 개발자 안내서에 제공된 내용을 확인해보면, Docker Compose를 사용하지 않고 배포하는 경우, zip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Dockerfile과 Dockerrun.aws.json파일만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. dockerrun.aws.json은 v1,v2,v3으로 구분되며 아래 조건에 따라 사용하는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. Dockerrun.aws.json v1 ) 단일 인스턴스 Docker Amazon Linux 2 플랫폼 + Docker Compos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CI CD
  • · 2022. 1. 30.
[CI/CD] Docker와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 CI/CD 자동화 배포1 (삽질 기록)

[CI/CD] Docker와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 CI/CD 자동화 배포1 (삽질 기록)

0. 첫 CI/CD 구축기...😵🤬😵 삽질.......삽질의 시간......... 처음 CI/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보았는데...... 어떤 단계대로 진행해야 하는지 방법도 모를 뿐더러 자료를 보고 따라해도 수 많은 에러를 만나고.......... 다행히 여러 방법이 있어서 에러🤯 -> 못고치면 다른 방법으로 시도 -> 에러🤯 -> 다른 방법 시도 -> 에러🤯 이 과정을 반복하다가 결국 굉장히 간단하고도 오류없이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! (더 쉬운게 있으면 말고 쩝🥸) 1. 사용 기술🛠️ spring boot gradle github action docker AWS Elastic Beanstalk 2. 아키텍처 구성도 우리 프로젝트의 아키텍처 구성은 다음과 같다. (근데 사실 아직 DB가 안들어가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CI CD
  • · 2022. 1. 27.
git bash에서 EC2접속 및 서버 세팅하기(Window)

git bash에서 EC2접속 및 서버 세팅하기(Window)

Git bash에서 EC2 접속 1. git bash에 접속해서 아래의 명령어로 EC2 접속 $ ssh -i /c/Users/sun990520/Desktop/sparta/sparta.pem ubuntu@3.35.207.244 $ ssh -i 키페어경로 ubuntu@퍼블릭 IPv4 주소 키페어경로는 자기 aws키페어를 드래그해서 붙여넣으면 됨 2. FileZilla에서 파일 업로드 FileZilla : 파일을 업로드, 다운로드 시켜주는 프로그램 (1) 파일질라에 접속하면 저 노란색 형광펜으로 칠해놓은 부분('사이트관리자 열기')을 클릭 (2) New site 눌러서 이름 설정하고 (3) 프로토콜을 SFTP로 설정 (4) 호스트에 EC2 인스턴스 퍼블릭 IP주소 입력 / 포트번호는 22 (5) 로그온 유형을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DevOps/Cloud
  • · 2021. 6. 30.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2
  • navigate_next
인기 글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taeong
Copyright © 태옹 모든 권리 보유.
SKIN: Copyright ©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. Designed by JJuum.
and Current skin "dev-roo" is modified by Jin.

티스토리툴바